트럼프 관세발 시장 하락으로 인해 비트코인을 비롯한 암호화폐 시장의 가격이 크게 흔들리고 있다.
게다가 노벨 경제학상 석학이나 빌게이츠가 비트코인 가치가 없다는 인터뷰가 한 번에 쏟아지는 날이다.
개인적인 뷰로는 비트코인의 가치가 0에 수렴한다고 하기엔 너무 많은 기관들이 투자를 하고 있다고 본다.
화폐든 금이든 지금 가치가 있다고 여겨지는 것들도 따지고 보면 그 물리적/자연적 성질이 태생적으로 지금 통용되는 가치가 있지는 않았다.
다수가 가치를 부여하면 가치가 생기는 것이기에, 비트코인은 어느 정도 그 궤도에 오르고 있다고 생각한다.
오늘은 2025년 1월 기준 현재 알려진 내용을 바탕으로 비트코인 보유량 Top 10을 알아보고자 한다.

2025년 1월 기준 비트코인 보유량 Top 10
- 코인베이스 (Coinbase)
- 보유량: 1,123,520 BTC
- 비율: 전체 유통량의 약 5.4%
- 특징: 미국 최대 암호화폐 거래소로, 대규모 보관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가장 많은 비트코인을 보유 중이다.
- 바이낸스 (Binance)
- 보유량: 686,997 BTC
- 비율: 전체 유통량의 약 3.3%
- 특징: 세계 최대 거래소 중 하나다. 글로벌 사용자를 바탕으로 막대한 비트코인을 보유하고 있다.
- 블랙록 (BlackRock)
- 보유량: 569,000 BTC
- 비율: 전체 유통량의 약 2.7%
- 특징: 세계 최대 자산운용사로, iShares Bitcoin Trust를 통해 대규모 비트코인을 보유 중이다.
- 마이크로스트래티지 (MicroStrategy)
- 보유량: 402,099 BTC
- 비율: 전체 유통량의 약 1.9%
- 특징: 비트코인에 가장 적극적으로 투자한 기업으로 유명하다. 비트코인 매입량 때문에 주가도 많이 올랐다.
- 비트파이넥스 (Bitfinex)
- 보유량: 350,262 BTC
- 비율: 전체 유통량의 약 1.7%
- 특징: 대형 암호화폐 거래소로, 거래소 고객들의 예치금을 통해 비트코인을 보유하고 있다.
- 그레이스케일 (Grayscale)
- 보유량: 211,000 BTC
- 비율: 전체 유통량의 약 1%
- 특징: 디지털 자산 투자 신탁을 통해 기관 투자자들의 비트코인 투자를 유치하고 있다.
- 피델리티 (Fidelity)
- 보유량: 201,000 BTC
- 비율: 전체 유통량의 약 0.97%
- 특징: 전통 금융권의 대표적인 자산운용지만 암호화폐 시장에도 적극적으로 진입하여 7위를 차지했다.
- 미국 정부 (US Government)
- 보유량: 192,000 BTC
- 비율: 전체 유통량의 약 0.93%
- 특징: 범죄 수사 과정에서 압수한 비트코인 자산을 많이 가지고 있다. 정부 지갑에 보관하고 있다. 전략자산으로 매입하겠다는 소문도 있지만 실제 이루어질지는 미지수다.
- 개인 X
- 보유량: 180,000 BTC
- 비율: 전체 유통량의 약 0.88%
- 특징: 신원이 공개되지 않은 개인 보유자다. 비트코인 초기 채굴자일 가능성이 있으나 밝혀진 바는 없다.
- 크라켄 (Kraken)
- 보유량: 179,000 BTC
- 비율: 전체 유통량의 약 0.87%
- 특징: 미국 기반의 대형 암호화폐 거래소로 많은 비트코인을 보유하고 있다.
분석 및 시사점
암호화폐 거래소: 코인베이스, 바이낸스, 크라켄 등 대형 암호화폐 거래소가 최상위권을 비롯해 세 자리를 차지했다.
비트코인이 탈중앙화를 표방하는 자산이지만 거래는 거래소를 통해 주로 이루어지다 보니, 구매한 주체는 거래소가 아니더라도 많은 양의 비트코인을 암호화폐 거래소가 보유하는 모양새가 되었다.
기관 투자자: 블랙록이나 피델리티 같은 전통 금융 기관들이 비트코인 보유량을 늘리고 ETF와 같은 파생상품을 만들어내며 암호화폐가 점점 더 제도권으로 편입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미국 정부 보유: 미국 정부는 압수한 비트코인을 여전히 상당량 보유하고 있다. 전략자산으로 비축할 계획이 있다는 비트코인에 긍정적인 전망도 있지만, 반대로 향후 경매 등을 통해 비트코인의 시장 가격에 영향을 줄 가능성도 있다.
'시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엔케리 트레이드(Yen Carry Trade)가 무엇인지 알아보자! (265) | 2025.02.09 |
---|---|
서울 아파트 공시가격 기준 Top 10을 알아보자! (서울에서 가장 비싼 아파트는 어디일까?) (118) | 2025.02.06 |
인당 명목 GDP Top 10 순위 (2025년 최신 기준, 한국 순위, 일본 순위) (156) | 2025.02.02 |
2025년 1월 29일 올해 첫 FOMC회의 미국 기준금리 동결! (+2025년 FOMC 연간 회의 일정) (165) | 2025.01.30 |
2024년 말 기준 시가총액으로 국내 대기업 그룹 Top 10을 알아보자! (111) | 2025.01.2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