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이 밝고 올해에도 어김없이 IMF에서 인당 명목 GDP 최신 순위를 발표했다.
작년에도 올렸는데 많은 분들이 관심을 가져주셨다.
* 2024년 기준 세계 1인당 명목 GDP
인당 명목 GDP Top 10 순위 (2024년 최신 기준, 한국 순위, 일본 순위)
최근 IMF에서 2024년 기준 세계 1인당 명목 GDP 순위가 나왔다. 얼마 전에 2023년 기준 1인당 명목 GDP 포스팅을 했는데 많은 분들이 읽어주셨다. * 2023년 기준 세계 1인당 명목 GDP 세계 1인당 명목 GDP와
seethroughworld.tistory.com
아무래도 인당 GDP가 해당 국가의 국민들의 삶의 수준을 대략적으로 가늠하게 해주는 지표이기 때문이라고 본다.
그래서 올해도 IMF 사이트에 올라온 인당 GDP 순위 Top 10을 알아보도록 하겠다.
* IMF (International Monetary Fund) 웹사이트
https://www.imf.org/external/datamapper/NGDPDPC@WEO/OEMDC/ADVEC/WEOWORLD
www.imf.org
* 2025년 인당 GDP Top 10 리스트

원화는 USD 1 = KRW 1,400으로 적용했다.
환율이 작년에 많이 올라서, 달러로 비교하는 것이 좀 더 정확할 수 있으니 참고하길 바란다.
1위 룩셈부르크
작년에 이어 올해도 부동의 1위 룩셈부르크!
프랑스와 독일 사이에 있는 소국이고 금융업이 발달해 있다.

1인당 GDP가 14.1만 달러로 연간 평균 1.97억 원을 버는 셈이다.
전년 14.0만 달러 대비 소폭 상승했다.
2023년 대비 2024년 상승률보다는 낮아졌다.
2위 스위스
작년대비 2위와 3위가 뒤바뀌었다.
스위스가 전 세계에서 두 번째로 인당 GDP가 높은 국가로 등극했다.

1인당 GDP가 11.1만 달러로 연간 평균 인당 1.55억 원을 버는 수준이다.
전년 11.0만 달러 대비 소폭 상승했다.
올해는 상승률이 전반적으로 낮은 느낌이다.
3위 아일랜드
아일랜드가 작년 2위에서 3위로 하락했다.
영국 옆에 있는 국가인데 금융업이 발달했다.

1인당 GDP가 10.7만 달러로 연간 평균 1.49억 원을 번다는 계산이 나온다.
전년 11.8 달러 대비 인당 GDP가 하락했다. 전반적으로 작년 세계 경제가 좋지 못했다는 방증으로 보인다.
4위 싱가포르
3위와 4위의 순위도 변동이 있다.
전년도 4위였던 Top 10 내 유일한 아시아 국가 싱가포르가 3위로 상승했다.

싱가포르가 워낙 아시아에서는 자본이 많이 모이는 국가라 GDP가 상승한 것으로 보인다.
다국적 기업의 APAC 본부는 이제 거의 90% 이상 싱가포르에 위치해 있다.
1인당 GDP는 9.3만 달러로 국민들이 연간 평균 1.30억 원을 벌어들인다.
전년 9.1만 달러 대비 상승했다. Top 5 중에 상승률이 가장 높은 국가다.
5위 노르웨이
고등어 우방국 노르웨이가 5위로 내려앉은 것이 마음이 아프다.

1인당 GDP가 9.0만 달러로 국민들이 연간 평균 1.26억 원을 벌어들인다.
전년 10.2만 달러 대비 크게 하락했다.
하락률이 Top 5 중에서는 가장 큰 국가다.
6위 아이슬란드
전년도에 상승률이 아주 높았던 아이슬란드는 올해는 다행히 6위를 그대로 지켜냈다.
Top 5 국가들 상승률도 전반적으로 어려웠던 점을 고려해 보면 순위를 지켜내는 것도 대단한 듯싶다.

1인당 GDP는 9.0만 달러로 국민들이 연간 평균 1.26억 원을 벌어들인다.
노르웨이와 아주 근소한 차이다. 전년 8.7만 달러 대비 상승했다.
7위 미국
사기캐 국가 미국이 작년 8위에서 올해 7위로 한 단계 상승했다.
작년 한 해 거의 유일하게 경제가 계속 좋았던 국가라고 할 수 있다.
GDP 규모를 생각해 보면 그 큰 경제가 이만큼 또 상승했다는 게 대단하다.

1인당 GDP는 8.9만 달러로 국민들이 연간 평균 1.24억 원을 벌어들인다.
전년 8.3만 달러 대비 꽤 상승했다.
올해 트럼프 정부가 관세 전쟁을 시작하고 있는데, 금년도를 지나고 나면 어떨지 궁금하다.
8위 마카오
8위는 전년도 Top 10에 새로 들어왔던 마카오가 차지했다. 두 단계나 올라왔다.
2023년 15위, 2024년 10위에서 올해 다시 8위라니 상승률이 무섭다.

1인당 GDP는 8.4만 달러로 국민들이 연간 평균 1.17억 원을 벌어들인다.
전년 7.0만 달러 대비 또다시 크게 상승했다.
주요 이유는 카지노를 비롯한 관광업 효과가 가장 크다. 또한 중국 본토와 연결하는 다리가 생기면서 더욱 활발해진 것으로 보인다.
9위 카타르
작년에는 아이슬란드에 밀려 7위를 차지했었는데, 이번엔 미국과 마카오에 밀려 9위로 내려갔다.
2023 월드컵도 하고 2024 아시안컵도 하고 거의 뭐 스포츠 행사는 다하는데 GDP 상승률은 다소 아쉬웠나 보다.

1인당 GDP는 7.2만 달러로 국민들이 연간 평균 1.0억 원을 벌어들인다.
전년 8.4만 달러 대비 크게 내렸다. 그래도 간신히 인당 1억 원의 소득은 턱걸이했다.
월드컵 있던 해가 워낙 GDP가 상승했기에 그 효과가 이제 사라지는 부분도 있고, 유가가 하락한 영향도 크다. 그리고 GDP 성장대비 인구증가율이 높은 부분도 있다.
10위 덴마크
10위에 마지막으로 랭크된 국가는 작년 9위였던 덴마크다.

1인당 GDP는 7.19만 달러로 국민들이 연간 평균 1.0억 원을 벌어들인다.
전년도 7.29만 달러 대비 하락했다.
노보노디스크가 작년에 비만약으로 대박 쳤음에도 인당 GDP는 내려갔다. 노보노디스크 덕분에 그나마 선방한 것으로 보면 되겠다.
2024년 인당 GDP 한국 순위

올해도 한국 순위도 짚고 넘어가야지.
대한민국은 인당 GDP 3.76만 달러로 전년 3.46만 달러 대비 상승했다. 인당 약 5천2백만 원 정도 벌어들인 것으로 볼 수 있다.
전년 대비 일본과의 차이가 더 벌어졌다.
일본도 3.56만 달러로 전년 3.45만 달러대비 오르긴 했으나, 우리나라의 상승률이 더 높았다.
하지만 일본은 인구가 한국 2.5배니까 총 경제규모로는 여전히 훨씬 크다.
스페인에 비해서는 다시 한 계단 앞서기 시작했다.
결론
작년도 한국 경제도 쉽지 않았는데 그래도 인당 GDP 기준으로는 꽤 상승한 게 다행이다.
전년 대비 인당 GDP가 줄어든 국가도 꽤 많다 보니, 상승을 기록한 것이 오히려 대단하다고 느껴진다.
올해 세계 경제가 여러모로 혼란이 클 것으로 예상되는데, 잘 이겨나가기를 기원한다.
* 2023년 인당 명목 GDP를 알아보자
세계 1인당 명목 GDP와 국가별 총 GDP를 알아보자 (세계 1위 국가는? 대한민국 GDP 순위는?)
GDP는 Gross Domestic Product의 약자로 한국말로는 '국내총생산'이라고 한다. 국적을 불문하고 우리나라 국경 내에서 이루어진 생산활동 가치의 총합계를 의미한다. 결국 GDP라는 건 한 국가의 경제규
seethroughworld.tistory.com
'시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울 아파트 공시가격 기준 Top 10을 알아보자! (서울에서 가장 비싼 아파트는 어디일까?) (118) | 2025.02.06 |
---|---|
2025년 1월 기준 비트코인을 많이 보유하고 있는 곳 Top 10을 알아보자! (196) | 2025.02.03 |
2025년 1월 29일 올해 첫 FOMC회의 미국 기준금리 동결! (+2025년 FOMC 연간 회의 일정) (165) | 2025.01.30 |
2024년 말 기준 시가총액으로 국내 대기업 그룹 Top 10을 알아보자! (111) | 2025.01.29 |
Deepseek가 AI에 가져온 충격! 중국 AI 기술이 무서운 이유를 알아보자 (119) | 2025.01.2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