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에서 트럼프 대통령의 취임이 다가오면서 암호화폐 시장도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1월 20일 기준 코인 시장의 시가총액 기준 코인 순위와 특징을 간략하게 알아보자.
* Top 10 암호화폐 (시가총액 기준)

1. 비트코인 (BTC)
시가총액: 2.1조 달러 (약 3,000조 원)
가장 유명하면서 가장 시가총액이 큰 암호화폐다.
"디지털 금"이라고 불리기도 하며, 2009년 사토시 나카모토 (Satoshi Nakamoto)라고 명명된 불특정 개인 또는 단체가 만들어낸 암호화폐다. 가치저장 수단 및 거래수단으로 활용하는 것이 주목적이다.
2. 이더리움 (ETH)
시가총액: 3,990억 달러 (약 579조 원)
이더리움 스마트 계약과 탈중앙화 앱 (Decentralized App)을 구축할 수 있는 플랫폼이다. 이 플랫폼에서 사용되는 암호화폐가 이더리움(ETH)이다.
이더리움이라는 용어자체는 플랫폼이자 암호화폐 이름인 셈이다.
시가총액 2위이며 작업증명 (PoW)에서 지분증명 (PoS) 방식으로 전환되었다.
3. 리플 (XRP)
시가총액: 1,870억 달러 (약 271조 원)
리플은 리플랩스에서 개발한 암호화폐 겸 결제 프로토콜이다.
은행을 비롯한 금융기관의 빠르고 저비용의 국제송금을 위해서 만들어졌다.
4. 테더 (USDT)
시가총액: 1,380억 달러 (약 200조 원)
미국 달러화와 가치가 1:1로 연동되는 스테이블코인 (Stable Coin)이다.
암호화폐 거래소에서 거래 또는 저장 수단으로 활용되고 있다.
5. 솔라나 (SOL)
시가총액: 1,230억 달러 (약 178조 원)
고성능 블록체인 플랫폼으로 탈중앙화 앱과 암호화폐 프로젝트에 특화되어 있다.
빠른 거래속도 및 높은 확장성을 주 무기로 하고 있다.
솔라나는 거래수수료와 스테이킹에 주로 사용된다.
6. 바이낸스 코인 (BNB)
시가총액: 997억 달러 (약 144조 원)
세계 최대 암호화폐 거래소인 바이낸스 (Binance)의 네이티브 토큰이다.
거래소 내에서 수수료를 지불하는 데 사용되며 바이낸스 관련 프로젝트에도 활용되고 있다.
바이낸스가 워낙 규모가 크다 보니, 거래소에서 만든 코인인데도 시가총액이 상당하다.
7. 도지코인 (DOGE)
시가총액: 547억 달러 (약 79조 원)
처음에는 아무 활용도 없이 재미로 시작한 밈 (Meme) 코인이었다.
그러나 일론 머스크와 같은 유명인사의 지지와 활발한 커뮤니티 내에서의 인기도에 의해 활발하게 거래되고 있다.
소규모 거래에서 활용되고 있다.
8. USDC
시가총액: 480억 달러 (약 69조 원)
테더와 유사한 스테이블 코인이다.
마찬가지로 1달러와 페깅 되어 있으며, Circle과 Coinbase가 개발한 암호화폐다.
주로 Defi 애플리케이션과 암호화폐 거래소 내에서 사용되고 있다.
9. 카르다노 (ADA)
시가총액: 371억 달러 (약 53조 원)
확장성과 지속가능성 그리고 상호운용성에 포커스 하고 있는 블록체인 플랫폼이다.
카르다노는 지분증명 (PoS) 방식으로 운영되며, 그 내부에서 ADA 코인은 스테이킹 및 거버넌스에 활용된다.
10. 트론 (TRX)
시가총액: 205억 달러 (약 29조 원)
트론 블록체인의 네이티브 코인이다.
글로벌 디지털 엔터테인먼트 콘텐츠를 생산하기 위한 탈중앙화 플랫폼을 추구한다.
콘텐츠 생산자와 소비자 사이의 중간자를 없애서 효율적인 수익 창출을 지향하고 있다.
이렇게 보니 일년 전에 작성했던 아래 포스팅 상의 시가총액 Top 10과 비교를 해보게된다.
암호화폐 시가총액 상위 Top 10을 알아보자 (코인 시가총액 순위, 가상화폐 시가총액 순위)
비트코인 현물 ETF 상장 관련 이슈로 암호화폐 시장이 다시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최근 비트코인 가격에 6천만원대를 돌파하면서 다시 시장에 관심이 늘어나고 있는 모양새다. 암호화폐 (Crypto
seethroughworld.tistory.com
순위 변동은 조금씩 있지만 대체로 1년 전의 상위 10개 코인이 지금도 그대로 있다.
작년 1월엔 아발란체가 있었는데 지금은 트론이 등장했다.
1위와 2위는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으로 굳건하다.
시가 총액은 전년 대비 상당히 커졌다. 1위인 비트코인의 시가총액은 작년 대비 2배 가량 증가했다.
내년 1월에는 과연 어떨지가 궁금해진다.
'재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7월 시행되는 스트레스 DSR 3단계에 대해서 알아보자! (191) | 2025.02.16 |
---|---|
소형모듈원자로 관련 미국 기업을 알아보자 (SMR, OKLO, 테파파워) (120) | 2025.01.22 |
2025년 첫 서초구 청약이 나온다! 방배 래미안 원페를라 (입지, 분양가, 시세차익, 청약조건, 청약일정 등) (84) | 2025.01.20 |
2024년 한 해 동안 받은 배당금을 알아보자! (배당금 성장일기) (64) | 2025.01.17 |
은행 예금자보호 한도 5천만원에서 1억원으로 늘어난다! (62) | 2024.11.2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