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시사

새마을금고 연체율 급등, 과연 시중금리는 안정될 수 있을까?

by 아비투스_ 2024. 5. 1.
728x90
반응형

 
새마을금고을 비롯해서 농협, 수협, 신협 그리고 저축은행들과 같은 제2금융권의 대출 연체율이 증가하고 있다.
 
작년 말에 새마을금고 연체율이 5% 정도였는데 현재 정부에서 파악하고 있는 연체율은 약 8%에 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한국자산관리공사 (KAMCO)작년에 새마을금고의 부실채권을 약 1조원 정도를 인수해서 위기를 넘긴 상황이었는데 올해 들어서 다시 연체율이 급격하게 오르고 있는 상황이다.

 

 
 

* 새마을금고 연체율이 증가하는 이유

 
연체율이 계속 증가하는 이유는 기본적으로 경기가 좋지 않으면서 미국이 기준금리를 내리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당초 올해 상반기부터 미국 연준의 기준금리 인하를 예상하다가 각종 경제지표에 따라 하반기로 밀렸다가 이제는 올해 안에는 기준금리 인하가 없을 것으로 예상하는 상황이다.
 
미국에서 기준금리를 인하하고 있지 않으니 한국은행도 마찬가지로 금리를 내릴 수가 없는 상황이다.

그러다 보니 많은 대출을 받고 부동산 경기가 상승한다는 가정 하에 진행되었던 많은 PF 사업들이 한계에 부딪히고 있다.
 
새마을금고에서도 부실채권 정리를 위해 노력을 하고는 있지만 쉽지가 않은 상황이다.

부실채권 매수자들의 경우 현재 당장 부동산 경기가 좋아질 가능성이 적어 보이니 부실채권을 급하게 매수할 이유가 없어진 셈이다.
 
조금 더 시간을 끌면서 더욱 낮은 가격에 부실채권을 매수하기 위해 시간을 끌다 보니 연체율은 갈수록 높아지고 있다.
 
특히 새마을금고가 6월과 12월 연간 2회 결산을 하는데, 작년 12월 연체율을 조금이라도 낮추기 위해 PF 대출을 몇 개월 정도 연장한 건들이 있다.

해당 건들의 만기가 도래하고 연체가 일어나면서 연체율이 이제야 치솟고 있는 것이다.
 
그 사이 기준금리 인하와 같은 긍정적인 상황이 일어나길 원했지만 아직 외부 요인이 따라주지 않고 있다.
 
또한 새마을금고 신규 대출도 잘 이루어지지 않고 있어, 신규 우량대출 비율이 줄어들고 부실대출 비율이 늘어날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 다른 제2금융권들의 상황

 
다른 상호금융들도 상황은 긍정적이지 않다.
 
신협의 경우 전국 단위 조합 약 900개 중에서 대략 280곳이 적자다. 비율로 따지면 거의 30%에 가깝다.
연체율도 이미 두 자리 숫자로 알려진 곳들도 꽤 있다.
 
수협도 약 90곳 중 30곳이 적자이니 마찬가지로30%가 적자인 셈이다.
 
산림조합은 약 140곳 중 30곳이 적자이고 농협이  1,000곳 중 20곳이 적자라 상대적으로 상황이 나은 편이다.
그러나 농협도 부실채권 규모가 약 11조 원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캠코의 부실채권 인수

 
새마을금고의 부실채권은 약 4조 원 정도로 추정되는데, 새마을금고는 캠코에 부실채권을 약 1조 원 정도 매수를 요청하였다.

그러나 캠코는 2천억 원 수준에서 조율 중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현재 부실채권이 새마을금고뿐 아니라 여러 제2금융권에 퍼져있기에 새마을금고 부실채권 매수에 모든 자원을 투입할 수가 없는 입장인 것이다.
 
특히 연초에 자영업자 채무를 조정하는 '새 출발기금'의 대상을 대폭 확대하면서 캠코도 버거운 상태다.
 


1분기에만 캠코가 비용 감당을 위해 약 8천억 원의 채권을 발행했다.

보통 연간 1조 원을 발행하는데 작년에는 두 배에 가까운 1조 9천억 원어치를 발행했었다.
 
올해는 현재까지 약 8천억 원의 채권을 발행했기에, 유난히 채권 발행량이 컸던 작년 발행량 기준의 40%를 이미 1분기에 발행한 셈이다.
 
문제는 이런 공사채의 발행량이 늘어나면 시중금리가 같이 올라가는 문제가 발생한다.
 
지급이 상대적으로 더 보증된 공사채가 4%의 이율로 발행된다고 가정하면, 망하면 받을 수 없는 일반 회사채의 경우 4% 이상의 금리로 채권을 발행해야 시중에서 팔리게 된다.
 
즉, 기업들이 자금을 융통하는데 더 많은 비용이 들어가서 부담이 커진다.

더 큰 문제는 이렇게 국가나 공공기관에서 푸는 돈들이 여기저기서 늘어나고 있다는 점이다.
 

 
주택도시보증공사 (HUG)의 대위변제 금액도 올해 1분기에 약 8,842억 원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진다.

최대 금액이었던 작년 1분기의 대위변제금액 5,865억 원 보다 50%가량 늘어났다.
 
한국전력은 올해 전기요금을 다시 동결했다.

공급가격은 늘어나는 데 전기요금을 전가하지 않기 위해서는 한국전력도 공사채를 발행할 수밖에 없을 것으로 보인다.
 
한동안 약간의 안정세를 보이던 시중금리가 다시 급격하게 요동 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는 이유다.
 
 
 
* 공사 중단 아파트 단지 HUG가 보상한다?!

공사 중단 아파트 늘어나면서 HUG가 계약금 돌려주는 사례 속출!

주택도시보증공사 (HUG)가 전세보증보험으로 전세금을 받지 못하는 사람한테만 전세금을 대환 해주는 것으로 알고 있는 사람들이 많다. 하지만 HUG의 역할은 여기서 그치지 않는다. 분양하는 아

seethroughworld.tistory.com

 
* 재개발/재건축 1+1 주택 취소 증가세

부동산 재개발/재건축 1+1 주택 취소가 늘어나는 이유를 알아보자 (북아현 2구역 재개발 근황)

재개발/재건축을 할 때 보유하고 있는 대지 지분에 따라 대지지분이 넓은 조합원의 경우에는 신축 아파트 2채를 받는 경우가 더러 있었다. 재개발로 들어오는 신축 아파트에 대해 2채를 조합원

seethroughworld.tistory.com

 
* 2024 KB 부동산 보고서 전격해부

2024 KB 부동산 보고서를 통해 본 부동산 시장 전망 (기준금리와 부동산 가격 상관관계)

부동산 관련 어플이나 시세로 가장 유명 한 곳 중 하나가 바로 KB금융그룹이다. 각종 주택담보대출도 KB가 제공하는 시세를 기반으로 나오는 경우가 많다. KB 금융그룹에서 매해 부동산 관련 보고

seethroughworld.tistory.com

 
* 2024년 부동산 주택 청약제도 전격해부

2024년 바뀌는 부동산 주택 청약제도 전격해부! (주택청약통장 인정기간, 신생아 특공 등)

2024년 3월 25일 자로 기존의 청약제도가 새롭게 개편될 예정이다. 청약홈도 개편되는 제도의 내용을 반영하기 위하여 3월 4일부터 3월 22일까지 신규 아파트 공급이 중단된 상황이다. 바뀌는 청약

seethroughworld.tistory.com

 
* 스트레스 DSR은 뭘까?

스트레스 DSR이 과연 무엇이고 어떤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자

스트레스 DSR을 적용한다는 뉴스가 최근 화두다. 우선 DSR이 뭔지부터 알아보자. DSR (Debt Service Ratio) 총부차원리금상환비율이라고 하며 채무자의 연간소득에서 각종 금융부채의 원리금 상환 비중

seethroughworld.tistory.com

 
 * 투기지역규제와 투기지역 부동산 대출규제

 

투기지역규제와 투기지역 부동산 대출규제에 대해 알아보자 (조정대상지역, 투기과열지구, 투기

부동산의 경우 시장이 과열되고 관심이 많아지면 수요를 조절하기 위해 규제를 적용한다. 규제지역의 단계는 크게 세 단계다. - 조정대상지역 - 투기과열지구 - 투기지역 투기지구는 투기과열지

seethroughworld.tistory.com

 
 * 전세대출에 DSR이 적용된다?!

 

전세대출에 DSR이 적용된다 (전세제도와 전세대출이 가져오는 부동산 거품)

부동산 시장이 과열되면 정부에서 다양한 규제가 등장한다. 과열된 시장을 가라앉히기 위한 방법이다. 물론 모든 부동산 규제가 효과적이지는 않다. 돈 (유동성)은 풀어주면서, 다른 규제를 아

seethroughworld.tistory.com

 
반응형

댓글